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인공지능시대 마케팅 이야기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인공지능시대 마케팅 이야기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1075) N
    • 마케팅 라이프 (266)
    • 블로그마케팅 (20)
    • 경제&MARKETING (394)
    • SNS&페이스북마케팅 (37)
    • 디지털 마케팅 (7) N
    • 부동산 경제 (4)
    • 4차산업혁명&IT&인공지능 (61) N
    • 창업 (63)
    • 금융 경제 (121)
    • 글로벌 경제 (1)
    • 마케팅 이야기 (47)
    • 4차산업혁명 이야기 (0)
  • 방명록

금융 경제 (121)
헤지 펀드의 시장교란 사례들 1

헤지 펀드의 시장교란 사례들 1 1992년 파운드 위기 헤지 펀드가 언론으로부터 집중적인 관심을 끌게 된 것은 1992년 조지 소로스(George Soros)가 이끄는 퀀텀 펀드(Quantum Fund)가 파운드화의 고정 환율을 지키고자 했던 영국은행을 무릎 끓게 한 투기적 공격 사건이 터진 직후였다. 1992년 9월 영국은행은 유럽통화제도(European Monetary System, EMS)의 중심 기구인 환율조정메커니즘(Exchange Rate Mechanism, ERM)에서 탈퇴한다고 전격 선언 했다. 유럽은 말할 것도 없고 전 세계가 큰 충격을 받았다. 당시 유럽연합의 EMS 참가국들은 1999년까지 유로화를 창시해 단일 통화권을 구춘한다고 목표를 세우고 과도기적인 조치로 일종의 준고정환율제인 ..

금융 경제 2022. 5. 16. 00:57
보험업의 원리와 재난 채권

보험업의 원리와 재난 채권 보험 가입자는 보험 회사에 매월 보험료를 납부하고, 그 대신에 지정된 사고가 발생해 손해를 입게 되면 일정 수준 이를 커버할 수 있는 보험금을 보험 회사로부터 받는다. 따라서 보험 가입자는 보험료를 납부하는 대가로 손해 위험을 보험 회사에 이전한 셈이며, 양자 간에 체결된 보험 계약은 위험을 거래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점에서 화재 보험, 자동차 보험, 생명 보험은 부보(附保, 보험 가입)대상이 다를 뿐 그 구조는 대동소이하다. 그러면 보험 회사의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보험 상품을 팔아서 자신이 끌어안게 된 보험 위험(insured risk)을 어떻게 관리 통제할 것인가이다. 이를 위한 첫 번째 원리는 큰수의 법칙이다. 포트 폴리오 선택 이론에서 살펴봤듯이 포트폴..

금융 경제 2022. 5. 15. 22:43
기업 재생과 M&A의 첨병, 사모 펀드

기업 재생과 M&A의 첨병, 사모 펀드 사모 펀드는 투자자 모집 방법이나 보수 체계에서는 헤지 펀드와 극히 유사하지만 운용 전략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사모 펀드는 주로 성장성은 높지만 문제가 있는 주식을 대거 사들여 특정 기업의 지배권을 확보한 후, 즉각 이를 전매해 차익을 실현하거나 구조 조정을 실시하고 기업가치를 높인 후 재매각하거나 혹은 기업 공개(initial public offering, IPO)를 해 차익을 실현하는 펀드를 말한다. 이처럼 사모 펀드의 자산 운용은 기업 재생이나 기업 인수·합병을 노리므로 턴어라운드(turn-around) 펀드 또는 바이아웃(buy-out) 펀드라고도 불린다. 사모 펀드도 해지 펀드와 비슷한 시기인 1940년대 후반 미국에서 탄생했다. 그 동기는 전쟁 중에..

금융 경제 2022. 5. 15. 10:47
헤지펀드는 절대 악인가 필요 악인가

헤지펀드는 절대 악인가 필요 악인가 헤지 펀드의 과감한 자산 운용전략이 시장을 교란하는 삭선이 연이어 터졌다. 1992년 영국의 파운드화 위기, 1997년 동아시아 외환 위기, 1998년 홍콩 달러의 위기는 헤지 펀드의 공격으로 인해 각국의 외환 시장이 패닉에 빠져 사례이며, 1998년의 롱텀 캐피털 매니지먼트(Long-Term Capital Management, LTCM) 위기는 헤지 펀드의 경영 파탄으로 인해 금융 시장 전체가 패닉에 빠진 사건이었다. 이처럼 각국의 외환 금융 위기에 헤지 펀드가 개입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헤지 펀드는 사회 전반으로부터 맹렬한 비판을 받게 되었다. 필요 이상으로 시장의 변동성을 높인다는 점, 투기적인 머니 게임으로 거액의 불로 소득을 올린다는 점, 자산 운용의 투명..

금융 경제 2022. 5. 14. 02:12
배타적 투자로 악명 높은 헤지펀드와 사모 펀드

배타적 투자로 악명 높은 헤지펀드와 사모 펀드 펀드의 분류법에 정설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편의상 전통적 펀드와 대안적 펀드로 구분할 수 있다. 전통적 펀드는 소액 투자자로부터 공개적으로 자금을 모집해 주식, 채권 등 유가증권에 투자하는 공모펀드가 주종이다. 미국의 뮤추얼 펀드와 우리나라의 투자 신탁이 이에 해당한다. 대안 펀드는 1980년대 이후 급속히 팽창해 온 새로운 형태의 펀드로서 헤지펀드(, hedge fund), 사모 펀드(private equity hund, PEF)가 주종을 이룬다. 대안 펀드는 투자자를 소수의 특수 부유층이나 금융기관 혹은 기관 투자자에 한정해 모집하는 '배타적 투자 클럽'의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투자자를 공개적으로 모집하는 공모 펀드와 다르다. 감독 당국은 대안 펀드의 투..

금융 경제 2022. 5. 13. 22:18
효율적 시장에도 약간의 빈틈은 있다.

효율적 시장에도 약간의 빈틈은 있다. 시장의 효율성이라는 관점에서 전문 인력의 가치를 부정하는 시각과 전문 인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의 효율성이 달성된다는 시각이 제기된다. 샌퍼드 그로스먼(Sanford J. Grossman)과 조지프 스티글리츠(Joseph Stiglitz)가 1981년에 발표한 「정보 효율적 시정의 존립 불가능성(On the Impossibility of Informationally Efficient Markets)」은 이렇게 상층되는 두 시각을 절묘하게 통합시킨 논문이다. 이들은 "시장의 균형이란 현실이 따라가는 이상향일 뿐 결코 도달할 수 없는 곳"이라고 선언했다. 이때 시장의 균형이 바로 효율적 시장을 의미한다. 두 사람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시장은 효율적이다. 그러나 전문가..

금융 경제 2022. 5. 13. 00:16
금융경제-전문 인력 무용론은 타당한가?

금융경제-전문 인력 무용론은 타당한가? 파마가 효율적 시장 가설을 제기한 이후 가설을 뒷받침하는 실증 연구의 결과들이 속속 보고되었다. 그중에서도 특히 흥미를 끈 것은 뮤추얼 펀드의 성과가 극히 부진하다는 보고였다. 이를 근거로 전문 인력에게 자산 운용을 맡기기보다는 차라리 눈을 감고 신문의 주식란에 다트를 던져 아무 주식이건 찍어서 투자하는 편이 성과가 더 높을 것이라는 극히 냉소적인 주장도 대두되었다. 몇 가지 예를 들어 봅시다. 1971~2007년의 37년간을 대상으로 분석해 보면 전문적으로 운용된 주식형 펀드의 평균 수익률이 월셔 5000 지수의 수익률을 앞선 것은 16년에 불과하며, 월셔 5000 지수의 평균 수익률은 12.8%로서 전문 펀드의 평균 수익률을 1% 포인트 앞선다. 또 아무리 뛰어..

금융 경제 2022. 5. 12. 21:36
자본 시장은 효율적인가?

자본 시장은 효율적인가? 주가는 예측 가능한 것일까?라는 질문은 일찍부터 경제학자들의 큰 관심거리였다. 이 질문에 대해 체계적인 답변이 가능하게 된 것은 컴퓨가 경제학에 도입되어 시계열 데이터(time-series data) 분석이 가능하게 된 1950년대였다. 주가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할까? 경제학자들은 경기 변동에도 주기가 있듯이 주가에도 일종의 주기가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를 갖고 있었다. 모리스 켄들(Maurice Kendall)도 그런 사람 중의 한 명이었다. 그런데 켄들은 1953년에 발표한 「경제 시계열 분석 : 가격(The Analysis of Economic Time Series, Part I : Prices)」 이란 논문에서, 주가의 움직임이 당초 그가 예상했던 것과 달리 '랜덤 워..

금융 경제 2022. 5. 11. 22:47
다양한 종류의 펀드들

다양한 종류의 펀드들 분산 투자의 효과를 적극적으로 추구한다는 점에서 모든 펀드는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시장에 나와 있는 펀드 상품에는 종류가 매우 많다. 일차적으로 주식형 펀드와 채권형 펀드로 구분할 수 있다. 주식이 일부라도 편입되어 있으면 주식형 펀드로 분류되므로 채권형 펀드에는 주식이 일체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면 된다. 따라서 가장 일반적인 펀드 상품은 주식이 포함된 주식형 펀드라고 볼 수 있다. 주식형은 대체로 수익성이 높고 채권형은 안정성이 높다. 이때 안정성이 높다는 것은 기대 수익률의 변동성이 낮다는 것을 뜻한다. 같은 주식형 펀드라도 운용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펀드 매니저가 재량권을 갖고 자산 배분이나 종목 선택을 자유롭게 하는 것을 자유형 펀드라고 하며, 반대로 사전에 결정된 투자 방..

금융 경제 2022. 5. 10. 19:12
통계학적으로 본 분산 투자의 원리

통계학적으로 본 분산 투자의 원리 분산 투자의 원리를 통계학적으로 말하면 상관관계가 낮거나 상관관계가 마이너스인 종목을 섞어서 포트폴리오 전체의 위험을 낮추는 것이다. 간단한 수치를 예로 들어 설명합니다. 계란이 30개 있고 모두 한 바구니에 담았습니다. 이때 발생할 수 있는 사건은 바구니를 떨어뜨려 계란이 모두 깨지는 경우와 바구니를 떨어뜨리지 않아 계란이 하나도 깨지지 않는 경우입니다. 즉 경우의 수가 2입니다. 이때 바구니를 떨어뜨리자 않을 확률은 2/3이고 바구니를 떨어뜨릴 확률은 1/3이라고 합시다. 그러면 계란은 평균 몇 개 깨진다고 봐야 할 것인가? 이 질문은 곧 깨지는 개수에 대한 기댓값(expected value)을 계산해 달라는 것이다. 바구니를 떨어뜨리지 않을 경우에는 계란이 하나도 ..

금융 경제 2022. 5. 10. 03:20
이전 1 ··· 6 7 8 9 10 11 12 13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 마케팅 어렵고 딱딱함 무작정따라하기
  • 마케팅을 다시 시작하며
  • 시골아제의 마케팅 이야기
  • 수익형 블로그로 시작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링크
  • 티스토리에서 알려드립니다.
  • 친절한 효자손
  • 블로그팁닷컴
TAG
  • 빅데이터
  • 창업
  • 인공지능
  • 홍보
  • 마케팅용어
  • 소셜미디어마케팅
  • 주식정보
  • 마케팅전략
  • 마케터
  • 콘텐츠마케팅
  • 기술창업
  • 4차산업혁명
  • 마케팅믹스
  • 경제
  • 포지셔닝
  • 마케팅
  • 경제용어
  • 마케팅공부
  • 경제이야기
  • 마케팅이야기
  • 블록체인
  • 브랜드
  • 제휴마케팅
  • 비트코인
  • 광고
  • 주식
  • 블로그마케팅
  • 모바일마케팅
  • 소셜미디어
  • 수익형블로그
more
«   2025/08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
250x250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