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망 중립성-무임승차론 VS 인터넷 개방 원칙 망 중립성 원칙이 절대불변의 규칙은 아니다. 오히려 IT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도구의 개념으로 보는 것이 맞다. 인터넷 초기의 망 중립성은 매우 엄격한 잣대를 가지고 있어서 통신사가 네트워크를 인위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금지했다. 어떤 목적에서든 통신사가 네트워크에 손을 대서는 안된다고 이해하면 쉽다. 그러나 현재의 망 중립성 개념은 과거에 비해 융통성이 있어 통신사의 트래픽 관리 측면에서 일부 조정을 허용하고 있다. 연말에 보신 각 근처에서는 순간 트래픽이 과도하게 몰리면서 네트워크망 서버가 다운되어 불통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통화 시도가 일시에 많아지면 서버가 견디지 못하는 것인데 1월 1일에는 통화 시도가 평소보다 최대 3배까지 많아진다고 알려졌다. 이럴..

투자 대비 수익성 떨어지면서 통신사들 불만 쌓여간다. 이제 데이터 폭발 시대로 접어들면서 상황이 변했다. 앞서 설명한 선순환의 전제는 '통신사가 투자 대비 수익이 일정 부분 유질될 때' 이다. 통신사의 주 수익원이던 음성-데이터 서비스 시장이 콘텐츠-플랫폼 사업자에 개방되면서 투자와 매출 간 선순환 고리가 끊기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예를들어, 지금의 카카오를 만든 메시징 서비스도 2010년 이전에는 통신사의 쏠쏠한 수익원이었다. 또 통신사의 전화를 쓰지 않아도 각종 보이스톡 서비스를 통해 통화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유료 서비스가 무료 서비스로 되어 환영받을 일이다. 그러나 그만큼 사용자 데이터가 차감되기 때문에 데이터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시간이 갈수록 네트워크에 대한 ..

스마트기기 혁명 - 귾김없는 라이브 동영상 시청이 폭발 실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16년 12월 기준으로 전체 데이터 트래픽 소비의 56.1%가 동영상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는 3년 전인 2013년 12월의 45.1%에 비해 11%나 상승한 것이다. 같은 기간 LTE 스마트폰 가입자당 트래픽이 2013년 12월 2.2GB에서 2016년 12월 5.8GB로 2.5배 이상 크게 증가했다. 또 방송통신위원회의 발표에 따르면, 2016년 인터넷 동영상(OTT : Over The Top) 시장 규모는 4,884억원으로 2015년 대비 53.7% 성장했다. 동영상 소비가 늘면서 데이터 소비가 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이렇게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가 빠르게 확산될 수 있었던 이유는 무..

데이터로 돌아가는 세상 현재 우리는 100명 중 92명이 카카오톡, 라인과 같은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고 있다. 65명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59명은 이메일은 이용하고 있다. 절반이 넘는 사람들이 모바일 게임과 인터넷 쇼핑을 즐기며 얼마 전까지 다소 생소하던 클라우드 서비스도 25명이 이용하고 있다. 바야흐로 '데이터로 돌아가는 세상(data-driven world)' 이다. 굴지의 글로벌 기업, 정부, 스타트업, 학교, 언론사, 병원, 배달업체 할 것 없이 미래를 선점하려는 모든 집단이 데이터를 원한다. 사람 간 연결을 넘어 사물과 항상 데이터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에릭슨 사는 최근 모빌리티 보고서를 통해 2022년까지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제외..

네트워크 거버넌스 논쟁 A라는 나라가 있다. 이 나라에는 고속도로가 없어 물류산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도로공사가 주체가 되어 고속도로를 건설하기로 했다. 고속도로 통행료는 입장료와 장거리 운전시 가산 통행료를 받았다. 이 요금은 택시, 버스, 세단, SUV를 가리지 않고 동일하며 도로 속도도 인위적으로 조절하지 않기로 했다. 단 보수 공사를 위한 일시 차단 정도는 허용했다. 고속도로에는 물류센터도 전설했으며, 공개되지 않은 입점료를 받았다. 시간이 가면서 고속도로 운전자가 늘어갔고 고속도로 내 물류센터와 휴게소도 함께 번창했다. 휴게소에서 주유소, 쉼터, 오락실 등 각종 편의시설을 만들어 고객 만족도가 높아지면서 운전자가 많아지고 매출도 덩달아 늘어 모두가 행복한 상황이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G-클라우드 국내 클라우드 산업은 초기로, 성장 가속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한국 정부는 4차 산업혁명의 변화를 이끄는 핵심기술(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중의 하나로 클라우드를 꼽고 있다. 한국 정부는 2017년 국가정보화 분야에 5.2조 원의 예산을 책정하고, 이 중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지능정보기술 부문에 1.3조원을 투입하기도 했다. 클라우드에는 4,358억원으로, 지능정보기술 중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대표적으로 '제3정부통합전산센터(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신축에 1,013억원이 투입되어 2019년부터 가동될 예정이다. 해당 신축 센터는 '클라우드 센터'를 표방하고 있어, 정부 클라우드 'G-클라..

금융업에도 이제 클라우드는 없어서는 안된다. 금융산업과 제조산업은 상대적으로 업력이 긴, 전통적인 산업 군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산업에서도 클라우드 도입과 이를 통한 빅데이터 활용 전략이 점차 퍼져나가고 있다. 짐 콜린스는 '위대한 기업(Great Company)'이 되기 위한 자질 중 하나로 "영속하고 지속저으로 발전 할 수 있는 체질을 만드는 것" 이라고 일찌감치 설명한 바 있다. 현 시점에서 위대한 기업의 체질을 갖추기 위한 노력은 바로 클라우드를 도입하여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국 은행 캐피털원(Capital One)은 아마존의 에코 및 알렉사를 통해 클라우드 기반 개인 서비스를 초기에 도입한 대표적인 금융기업이다. 신용카드, 계좌, 대출 등의 내역을 음성인..

클라우드가 바꾸는 산업지형 뉴미디어, 즉 인터넷 미디어 산업은 클라우드에 가장 빨리 적응한 산업 군이라고 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넷플릭스(Netflix)이다. 넷플릭스는 7년간에 걸쳐 데이터센터를 내부 의존도를 줄이는 대신 아마존의 클라우드 AWS로 이전했으며, 2016년 초에 그 작업을 마무리했다. 넷플릭스는 하나의 콘텐츠 에피소드마다 여러 기기와 전세계 다양한 인터넷 환경 각각에 최적화된 대응을 하기 위해 100여 개가 넘는 영상 포맷을 동시에 보유해야만 한다. 넷플릭스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AWS에 호스팅해놓고, 해당 콘텐츠 데이터에 전세계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와 미러사이트[(Mirror site) 기존 사이트와 동일한 정보를 복사하여 저장시켜놓은 사이트]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구조..

게임 산업도 클라우드로 갈아타기 미국 소셜 게임 기업 징가(Ynga)도 아마존의 AWS를 활용하는 대표적인 콘텐츠 기업이다. 징가의 버티카(Vertica) 데이터 서버는 아마존에서 운영되는 서버 중 가장 큰 규모에 속한다. 징가는 특히 클라우드 기반으로 거의 모든 게임 플레이를 추적하여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문화를 만들어오고 있다. 징가의 게임이 지닌 비즈니스 모델은 프리미엄(Freemium)으로, 게임을 하기 위해 돈을 지불할 필요는 없으나(Free to Play), 아이템 결제 등을 통해 부분 유료화를 유도하는 형태이다. 또 페이스북 플랫폼에서 게임이 진행될 경우, 게임 이용자의 페이스북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활용하여 타켓 광고를 하는 방식으로 매출을 발생시킨다. 2012년에 징가와 페이스북의 파트너..

치열한 투자 경쟁 전세계적으로 인터넷 기업의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증설이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기존에는 미국에 기반을 둔 글로벌 기업들이 투자를 주도했다면, 2017년부터는 아시아의 인터넷 서비스 기반의 클라우드 제공 업체들의 투자도 가세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클라우드 제공 업체들의 투자도 가세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클라우드 기업 간의 경쟁 양상은 가격 위주였다면, 이제는 글로벌 시장을 무대로 서비스 지역을 확장하고 인공지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아마존은 2016년까지 40개 이상의 지역에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미국 중부, 영국, 인도, 중국 등지의 신규 데이터센터 확장을 진행하고 있다. 2017년에 '서비스형 인공지능(AI-as-a-service)' 으로 불리는 클라우드..
- 콘텐츠마케팅
- 포지셔닝
- 수익형블로그
- 마케터
- 블로그마케팅
- 광고
- 4차산업혁명
- 인공지능
- 경제
- 기술창업
- 마케팅이야기
- 마케팅공부
- 소셜미디어마케팅
- 홍보
- 주식
- 마케팅믹스
- 경제용어
- 마케팅
- 마케팅전략
- 브랜드
- 빅데이터
- 제휴마케팅
- 마케팅용어
- 창업
- 소셜미디어
- 경제이야기
- 모바일마케팅
- 주식정보
- 비트코인
- 블록체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